민수기 28장에 나오는 제사
- 박정배
- 5월 31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6월 5일
성경에 나오는 제사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민수기 28장에는 제사를 시간주기별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는 각 제사에 대한 설명이라기보다는 가나안땅에 들어갈 이스라엘 백성들이 어떻게 자신을 하나님께 온전히 드리는 회개와 헌신의 삶을 살아야하는 지를 잊지 않도록 매일, 매주, 매월, 매년 기억할지를 보여줍니다.
번제 | 속죄제 | |||
수송아지(Bull) | 숫양(Ram) | 어린양(Lamb) | 숫염소(Goat) | |
매일 | 2 | |||
안식일 | 2(4) | |||
매월 초하루 | 2 | 1 | 7(9) | 1 |
무교절(유월절) | 2 | 1 | 7(9) | 1 |
칠칠절(오순절) | 2 | 1 | 7(9) | 1 |
7월 초하루 | 1(3) | 1(2) | 7(16) | 1 |
속죄일(7월 10일) | 1 | 1 | 7(9) | 1(2) |
장막절 | 13~7 | 2 | 14(16) | 1 |
113 | 32 | 1086 |
먼저 여러 종류의 제사가 혼재되어 사용되기에 소개합니다.
5대 제사 (제사의 목적에 따른 분류)
번제 (Burnt Offering)
목적: 하나님께 대한 전적인 헌신과 속죄, 그리고 하나님의 진노를 가라앉히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특징: 제물 전체를 불살라 연기가 하늘로 올라가게 했습니다. 가죽만 제사장의 몫이었습니다.
제물: 소, 양, 염소, 비둘기 등 흠 없는 수컷 짐승.
의미: 죄인의 죄를 제물에게 전가하여 대속하고, 자신의 모든 것을 하나님께 온전히 바친다는 의미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온전한 희생을 예표합니다.
소제 (Grain Offering / Cereal Offering)
목적: 하나님의 은혜와 공급하심에 대한 감사와 찬양, 그리고 자신의 삶을 하나님께 드리는 헌신을 표현합니다.
특징: 피 없는 곡물 제사입니다. 일부를 불태우고 나머지는 제사장들이 먹었습니다.
제물: 고운 밀가루, 기름, 유향 등을 섞어 만든 빵이나 과자, 볶은 곡물 등. 누룩과 꿀은 금지되었습니다.
의미: 자신의 모든 소유가 하나님께로부터 왔음을 인정하고 감사하며, 삶의 열매를 하나님께 드리는 순종을 나타냅니다.
화목제 (Peace Offering / Fellowship Offering)
목적: 하나님과의 평화로운 관계와 친교를 위한 제사입니다. 감사, 서원, 자원의 세 가지 형태로 세분됩니다.
특징: 제물의 일부는 하나님께 드려지고, 제사장과 제물을 드린 사람(가족 포함)이 남은 부분을 함께 먹었습니다. 이는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화목과 교제를 상징합니다.
제물: 소, 양, 염소 등 흠 없는 수컷 또는 암컷 짐승.
의미: 하나님과의 화평을 누리고 그분과의 교제 속에서 기쁨을 나누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와 하나님 사이의 화목 제물이 되심을 예표합니다.
속죄제 (Sin Offering)
목적: 부지중에 지은 죄(특히 부정한 것에 접촉하거나 명령을 어기는 등)를 속죄하고, 하나님과의 단절된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드렸습니다.
특징: 죄를 지은 사람의 신분(제사장, 온 회중, 족장, 평민)에 따라 제물이 달랐습니다. 피를 지성소나 성소 휘장 앞에 뿌리는 등 피의 처리가 중요했습니다.
제물: 수송아지, 숫염소, 암염소, 어린 암양, 산비둘기나 집비둘기, 심지어 고운 가루도 사용될 수 있었습니다 (가난한 자를 위해).
의미: 죄로 인해 발생하는 하나님과의 관계 단절을 해결하고 죄 사함을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가 우리의 죄를 대속하신 유일한 속죄 제물이 되심을 강력히 나타냅니다.
속건제 (Guilt Offering / Trespass Offering)
목적: 하나님의 성물에 대한 범과 (예: 하나님의 것을 도적질하거나 손해를 입힌 경우)나 타인에게 입힌 손해에 대한 죄를 속죄하고 배상하기 위해 드렸습니다.
특징: 죄에 대한 보상(배상)이 동반됩니다. 손해액의 5분의 1을 더하여 배상한 후 제사를 드렸습니다.
제물: 흠 없는 숫양.
의미: 단순히 죄를 용서받는 것을 넘어, 죄로 인해 발생한 구체적인 손해에 대한 책임과 보상을 강조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모든 죄와 허물에 대한 배상을 완벽하게 치르셨음을 보여줍니다.
4가지 제사 방법 (제물을 다루는 방식에 따른 분류)
화제 (Burnt Offering by Fire / Offering Made by Fire)
방법: 제물을 불에 태워서 드리는 제사입니다. 번제, 소제, 화목제, 속죄제, 속건제 등 모든 제사에 이 방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제물의 '향기'가 하나님께 상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제 (Drink Offering / Libation)
방법: 액체(주로 포도주나 기름)를 제단에 부어 드리는 제사입니다. 주로 다른 제사(번제, 소제, 화목제 등)와 함께 드려지며, 헌신과 기쁨을 상징합니다.
요제 (Wave Offering)
방법: 제물을 제사장이나 제물을 드리는 자가 앞뒤로 흔들어서 드리는 제사입니다. '흔들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목적: 하나님께 드려지는 것이며, 또한 하나님께서 그것을 다시 제사장에게 (혹은 제물을 드린 자에게) 돌려주시는 것을 상징합니다. 하나님께서 받으셨음을 인정하는 행위로 해석됩니다.
거제 (Heave Offering / Contribution Offering)
방법: 제물을 제사장이나 제물을 드리는 자가 위로 높이 들었다가 내리는 제사입니다. '들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목적: 요제와 마찬가지로 하나님께 드려지는 것을 상징하며, 하나님께서 받으신 것을 제사장에게 주시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주로 십일조, 처음 익은 곡식, 전리품 등을 드릴 때 사용되었습니다.
Comments